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연금 저축 펀드, 꼭 해야하는 이유!

by 지니약사 2021. 1. 1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재테크하는 약대생입니다!

오늘은 연금 저축 펀드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20대 후반인 제 주변에는

아직 연금 저축에 대해

자세히 아는 친구들이 드물더라구요.

 

안 하면 손해라는 연금 저축 펀드, 

도대체 왜, 어떻게 해야하는 걸까요?

 

우선, 연금 저축 펀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에 앞서

연금 저축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기 위해

계산을 해봅시다!

 

60살 은퇴 후, 한 달 생활비로 200만원이 들고,

100세까지 산다고 가정하면

한 사람이 은퇴 후 죽을 때까지

최소 9억 6천만원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만약 부양가족이 있다면

이 금액이 몇 배로 필요하겠죠

 

그래서 필요한 것이 바로 "연금 저축"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젊고 건강할 때, 노후를 위해 연금을 마련해 두는 것이지요!

 

연금 저축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증권사에서 가입하는 "연금저축 펀드"

은행에서 가입하는 "연금저축 신탁"

보험사에서 가입하는 "연금저축 보험"

 

이 세가지는 연 400만원을 넣으면

세액 공제로

약 50만원 ~ 66만원까지 돌려준다는 면에서

동일한 혜택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액공제 한도와 공제 금액

총 급여 공제한도 공제율 공제 금액
5,500만원 이하 400만원 16.5% 66만원
5,500만원 초과
~ 1억 2천만원 이하
400만원 13.2% 52만 8천원
1억 2천만원 초과 300만원 13.2% 39만 6천원

 

여기에 넣을 수 있는 돈은

총 1800만원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그 계좌에

세액 공제 혜택을 주는 것은

400만원까지 이기 때문에

400만원까지는 꼭 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연 400만원을 넣으면

66만원을 돌려주는데

하지 않을 이유가 전혀 없죠!!

 

그런데!

여기서 왜 하필 연금저축 "펀드"여야 하는 것일까요?

답은 바로 수익률에 있습니다.

 

보험사나 은행에서 가입하는

연금저축 보험이나 신탁은

이율이 매우 낮아서 수익이 아주 미미하죠

 

하지만 연금 저축 펀드는 

내가 투자하는 상품에 따라서 

수익률이 달라지고,

그에 따른 복리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돈이 돈을 낳는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예를 하나 들어보도록 합시다!

25살에 연금 저축을 시작해서

55살까지 약 30년간 꾸준히 넣었다고 가정했을 때,

 

만약 연금 저축 계좌에 꾸준히 저축했다면

손실의 위험은 없지만

원금에서 수익이 더 나기도 힘들죠.

따라서 400만원 x 30년 = 1억 2000만원 정도가 모입니다.

노후 준비를 위한 10억에는 한참 못 미치는 금액이죠.

 

하지만, 연금 저축 펀드라면 어떨까요?

물론, 원금 보장이 100% 되지 않는다는

불확실성의 단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하지만

투자한 펀드의 수익률이 대략 7%라고 가정했을 때,

30년 동안 매년 저축하면

복리효과로 30년 후 4억이 됩니다.

심지어 수익률은 7%를 넘을 수도 있죠.

 

이 수익률이 증가할 때마다

30년 후의 금액은 엄청난 차이를 나타내게 됩니다.

만약 연 수익률이 10% 라면

30년 후에는 약 7억이 되어있죠

(이러한 복리 효과에 대해서는 추후에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30년 뒤의 결과를 고려했을 때

연금 저축 펀드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다들 어느정도 도움이 되셨을까요?ㅎㅎ

다음에는 더 유익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의 경제적 자유를 응원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을 남겨주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