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해외 미국 주식 세금,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by 지니약사 2021. 1. 22.
728x90
반응형

미국 주식 세금, 주식양도세, 양도소득세, 배당소득세

 

안녕하세요!

재테크하는 약대생입니다!

 

다들 꾸준투자 하고 계신가요?

오늘은 해외 주식으로

투자중인 분들이라면

꼭 알아야 할 내용을 가지고 왔답니다!

바로 해외주식 세금 관련한 내용이죠!

 

 

국내주식과 해외주식에서

세금을 내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이 부분을 꼭 알아두시고

주의해서 투자를 하셔야

후에 불이익이 생기지 않는답니다!

 

우선 주식 거래 관련 세금에는

두 가지가 있어요!

양도차익에 관한 세금인 양도소득세와

배당 수익에 대한 세금인 배당소득세 입니다.

 

 

여기서

국내 주식은 매우 큰 금액을 투자한

대주주를 제외하고는

양도차익에 대한 세금(양도소득세)이 없답니다!

 

따라서 국내 주식에만 투자하는 분들이라면

그 금액이 아~주 크지 않은 이상

크게 신경쓸 것이 없다고 해요!

 

 

하지만

해외 주식은 수익실현을 했을 때

발생한 양도차익에 대해서 세금이 부과되는데요,

 

이때, 매도하기 전까지는

과세 대상이 아니니

꾸준히 매수만 하고 매도하지 않는다면

매년 세금을 낼 일이 거의 없겠죠!

 

1년 동안

주식으로 250만원 이상의 수익이 났다면

수익 금액 중

250만원을 공제한 나머지 금액의 22%를

양도소득세로 내야합니다.

 

예를 들어서

한 해 동안 500만원에 매수해서

1000만원에 매도하여

500만원의 이익이 발생한다면

500-250만원 = 250만원에 대한 22%

즉, 55만원을 양도소득세로 내야하는 것이죠.

 

 

그렇다면 손실이 발생했을 때는 어떨까요?

만약 중간에 손실이 발생한다면

그만큼 감안이 된답니다!

 

만약 A주식에서 수익이 500만원,

B주식에서 손실이 400만원이라면

500-400만원 = 100만원이기 때문에

250만원을 넘지 않아서

양도소득세를 따로 내지 않아도 되는 것이죠

 

1월 1일 부터 12월 31일 까지

거래한 금액을 모두 합쳐서 계산하는데요,

 

이 때 주의해야할 점이 있답니다!

해외 주식을 매도한 후

현금으로 입금이 되기 까지

일정 기간이 소요된다는 점

다들 아시죠?

 

미국의 경우, 매도 후 입금까지

영업일 기준 3일이 소요되기 때문에

연말에 매도할 경우,

다음 해로 넘어가지 않도록

여유롭게 기간을 두고

매도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 다른 주식 관련 세금에는

배당 수익에 관한 세금인

배당소득세가 있습니다!

 

배당 소득세는 해외주식뿐만 아니라

국내주식에서도 공통적으로 과세가 되는데요,

이는 증권사에서 원천징수하기 때문에

따로 신경쓸 필요 없이 자동으로

빠진 후 입금된답니다!

 

배당소득세는

미국 15.4%

한국은 14%으로

한국보다 미국에서 많이 떼기 때문에

한국 국세청에서 따로

미국 주식에 대한 배당소득세를

떼가지는 않는다고 해요!

 


 

지금까지 세금을 얼마내는지 알아보았으니,

세금 신고에 대해서도 알아야 겠죠!

양도소득세는 다음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서 신고해야 합니다!

 

하지만 신고 과정이 매우 복잡해서

개인이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많은 증권사에서

양도소득세 대행신고 서비스를 운영한다고 해요

 

 

만약 사용중인 증권사가 여러 개 라면,

대행 신고 서비스를 신청한 증권사로

타 증권사의 자료를 보내

합산해서 신고하도록 요청하면 된다고 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KB증권 어플에도 찾아보니

세금 대행신고 서비스를 운영중이더라구요!

여러분도 사용중인 증권사의 어플에

대행서비스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혼자 세금 신고하기 버거우신 분들은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제때 신고를 하지 않으면

가산세 20%가 부과되기 때문에,

수익이 250만원을 넘었을 경우

꼭꼭 잊지 않고

신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익이 250만원이 넘지 않는다면

양도소득세가 0원이고

따라서 가산세가 0원이기 때문에

굳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할 필요가 없다고 하네요!


오늘은 해외주식 세금 신고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도움이 되셨나요?

오늘도 여러분들의 경제적 자유를

진심으로 응원하면서

다음에는 더 유익하고 쓸모있는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